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이야기

핵폭탄이 휩쓸고 지나가는 듯 세균들을 살균소독하는 빨간약의 위엄.gif

by lovelykorean 2024. 10. 2.

목차

    핵폭탄이 휩쓸고 지나가는 듯 세균들을 살균소독하는 빨간약 한 방울의 위엄.gif

    아까징끼? 옥도정기? 베타딘? 포비돈? 빨간약의 이름 변천사

    흔히 빨간약으로 불리는 포비돈 요오드 용액갑상선 기능 이상 환자, 신생아 및 영아, 임부, 수유부사용해선 안된다.

    아까징끼(赤いヨードチンキ, 붉은 요오드 알코올 혼합액)

    • 아카이(赤い) : 붉은 색.
    • 요오도(ヨード) : 원소 기호 I, 원자 번호 53인 화학 원소 '요오드'. 독일어로는 Iod(요트), 영어로는 Iodine을 뜻하며, 현재 한국에서는 영어식 발음을 채용하여 '아이오딘'으로 읽는다.
    • 친키(チンキ) : '알코올 추출액', 또는 '알코올 혼합액'을 뜻하는 영단어 Tincture(팅ㅋ쳐)의 일본식 발음이다.

    '아까징끼(赤チンキ)'는 1918년 일본에서 개발된 소독약으로 '빨간약'을 의미합니다.

    '붉은 알콜 추출액'이라는 뜻을 지닌 상품명, '아까징끼(赤チンキ)'. 이것은 현재 사용되는 '포비돈-요오드 액'이 아닌 '머큐로크롬 액'이다. 요오드보다 산화력이 더욱 강한 브롬이 주성분이기에 뛰어난 살균능력을 보였지만, 수은이 함유되어 있었기에 1998년 이후 의약계에서 퇴출되었다. 수은은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 물질로, 일정 기준치 이상 몸에 축적되면 수은 중독 등 여러 중금속 중독성 질환을 유발한다.
    소독약의 브랜드 이름 '머큐로크롬(Mercurochrome)'의 주성분 '메르브로민(Merbromin)'의 화학식 구조를 보면 '수은(Hg)'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머큐로 크롬 액(マーキュロクロム液)'이라고 쓰여있다.

    옥도정기(沃度丁幾)

    옥도정기(沃度丁幾)는 '요오드 알코올 혼합물'을 한자로 바꾼 용어이다.

    • 옥도(沃度) 혹은 옥소(沃素) : 요오드(Iodine, 아이오딘)를 뜻한다.
    • 정기(丁幾) : '알코올 추출물'을 뜻하는 독일어 Tinctur(팅ㅋ터)를 일본식 한자로 변경하여 적은 용어이다.
    • 옥도정기(沃度丁幾)란 요오드팅크쳐(독일어: Jodtinktur, 영어: Iodine tincture)를 일본식 한자어 단어로 음차하여 상품명으로 만든 것이다.

    베타딘(Betadine)

    베타딘(Betadine)은 미국 '퍼듀 파마(Purdue Pharma)'사의 소독약 제품 브랜드 이름이다. 한국에서는 '한국먼디파마(Mundipharma Korea)'에서 수입, 판매하고 있다.

    • 베타딘(Betadine)은 포비돈-아이오딘을 단일성분으로 하는 적갈색의 소독약 브랜드이다.
    • 미국 퍼듀 파마(Purdue Pharma)사의 제품 이름, 상품명이다.

    최초의 요오드

    황산과 해초를 우려낸 재에 황산을 부었더니 연기가 나와 연기가 멈출 때까지 기다렸더니 검은 결정이 나와 이것에 아이오딘(그리스어로 "보랏빛 같다"라는 뜻에서 유래)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검은 빛의 요오드 결정과 보라색 아이오딘 증기. - 출처 : 위키피디아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

    에볼라마저 잡는다니…

    구급상자를 열어보자. 어김없이 빨간약이 들어 있을 것이다.

    약품명인 ‘포비돈 요오드’보다, 별명인 빨간약이 친숙할 만큼 우리 생활 가까이 있는 소독약이다.

    요오드 수용액의 적갈색 덕에 빨간약이란 예쁜 별명이 붙었다.

    그런데 소소하게 상처 소독에만 쓰는 줄 알았던 이 약이 에볼라 바이러스도 잡는다는 사실!

     

    독일 마르부르크대와 다국적 제약회사 먼디 파마가 함께 포비돈 요오드에 15초간 에볼라를 담가 놓는 실험을 했는데, 바이러스가 99.99% 이상 줄어 들었다고 3월 25일 발표했다.

    ‘빨간약 다시 봤다’는 사람들의 반응이 줄을 이었다.

    빨간약은 진짜 만병통치약이었던 걸까?

    빨간약이 에볼라 바이러스를 잘 죽이는 이유

    바이러스가 세포 속으로 침투하려면 세포막을 통과할 '열쇠'가 필요하다.
    에볼라처럼 외피가 지질막으로 둘러싸인 바이러스는 돌기단백질이라는 약한 열쇠가 드문드문 달려있다.
    반면 노로바이러스처럼 외피막이 없는 종류는 단백질로 이뤄진 단단한 열쇠를 온 몸에 두르고 있다.
    이 '열쇠'를 부숴뜨리는 게 바로 포비돈 요오드의 역할, 자, 에볼라와 노로바이러스 중 누가 더 빨간약에 취약할까.

    답은 당연히 에볼라다. 에볼라뿐 아니라 지질막(외피막)을 가진 바이러스가 다 빨간약에 약하다.
    그런데 그 중에서도 에볼라는 특히 약하다. 음성극성 RNA로 이뤄져있기 때문이다.
    음성극성 RNA 바이러스는 양성극성 RNA 바이러스와 달리, 복제과정에서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가 꼭 필요하다.
    요오드가 바이러스 내부로 들어오면 이 중합효소부터 박살내 버린다.
    더불어 복제에 필요한 핵산단백질도 망가뜨린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요오드가 에볼라와 만나면 밖으로는 돌기단백질을 파괴하고, 안으로는 복제에 필요한 물질들을 망가뜨려 강한 소독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력한 살균력 가진 요오드

    뜻밖의 발견처럼 보이지만, 사실 빨간약의 에볼라 바이러스 살균효과는 예상된 결과다.

    에볼라처럼 외피막(지질막)을 가진 인플루엔자,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를 빨간약으로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예전부터 증명돼 있었다.

    인체에 깊숙이 퍼진 상태가 아닌,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긴 하지만.

    손세정제에 빨간약을 섞으면 이런 외피막보유 바이러스들을 일거에 소탕할 수 있다는 의미다.

    빨간약은 거의 모든 병원체를 죽일 수 있다. 효모, 곰팡이, 균류, 바이러스, 원생동물 가릴 것 없이 강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베인 상처, 긁힌 상처, 찢어진 상처, 화상, 수포응급 처치용 소독제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머리 아프고 배 아플 때 빨간약 바르면 낫는다’는 미신이 괜히 생긴 게 아니다.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 군대에서는 모든 병을 빨간약으로 해결했다는 전설도…)

    빨간약의 무시무시한 살균력은 요오드의 산화력에서 나온다.

    요오드는 전기음성도가 가장 높은 17족 할로겐 원소다. 전기음성도가 높다는 건 다른 원소로부터 전자를 잘 뺏어온다는 뜻이다.

    달리 말하면, 산화력(다른 원소를 산화시키는 성질)이 세다고 할 수 있다.

    요오드가 미생물을 죽이는 원리는 대략 세 가지다.

    첫째로 시스테인, 메티오닌 같은 아미노산에서 황의 전자를 빼앗아 결합을 깬다.

    둘째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티로신 같은 아미노산에서 질소-수소 결합을 깬다. 이렇게 아미노산 내부의 결합을 깨면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효소나 구조단백질이 파괴돼 미생물이 버티지 못하고 죽는다.

    마지막으로 지방산에서 탄소의 이중결합을 깨고 핵산 사이에 끼어들어가 세포벽, 세포막, 세포질을 박살낸다.

    미생물 입장에서는 잔혹하고 극악무도한 살인마와 다를 바 없다.

    원조 빨간약 따로 있다?

    독자 여러분의 나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추억 속 빨간약이 포비돈요오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원조 빨간약은 따로 있거든요.
    바로 머큐로크롬입니다.
    요오드가 아닌 브롬이 주성분인 소독약이죠.
    브롬 역시 17족 할로겐 원소로, 요오드보다 산화력이 셉니다.
    1918년 존스 홉킨스 병원의 내과의사 휴 영이 개발한 이래 전 세계 소독약 시장을 꽉 잡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시장에서 퇴출되고 맙니다.
    왜냐고요?
    1998년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머큐로크롬수은이 들었다는 이유로 사용을 금지시켜버렸거든요.
    (1970년대부터 과학자들이 계속 경고를 한 결과죠.)
    그렇게 한순간에 원조 빨간약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립니다.
    당신의 빨간약은 머큐로크롬인가요, 포비돈요오드인가요?

    포비돈과 만나 ‘빨간약’이 된 요오드

    요오드의 강한 살균력을 소독에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은 1829년 프랑스 파리의 내과의사 장 루골이 처음 발견했다.

    장 기욤 오귀스트 루골(Jean Guillaume Auguste Lugol, 1786년 8월 18일 ~ 1851년 9월 16일)

    그는 요오드화칼륨을 물에 녹여 병원의 의료기기를 살균하는 데 썼다.

    루골의 요오드 용액은 1839년 미국으로 건너가, 남북전쟁으로 생긴 부상자의 상처를 소독하는 용도로도 쓰였다.

    그런데 여기엔 단점이 하나 있었다.

    환자는 병원균을 피하는 대신 끔찍한 고통을 맛봐야 했다.

    요오드가 병원균과 피부세포를 가리지 않고 파괴하며 상처부위를 자극해 극심한 통증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자극성 탓에 요오드 용액은 소독제로 널리 쓰이지 못했다.

     

    요오드가 지금처럼 소독제의 대명사로 알려지게 된 건 ‘포비돈’을 만나면서부터다.

    합성 고분자화합물인 포비돈은 원래 혈장(혈액에서 혈구를 제외한 액체 성분) 대용액으로 개발됐다.

    독일기업 IG파르벤인더스트리가 제2차 세계대전 직전, 출혈이 심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인공혈장 용도로 만든 것이다.

    1949년, 미국 산업독극물연구소 허만 셸란스키 박사는 포비돈을 요오드에 섞어 자극성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데 성공한다.

    포비돈과 요오드의 결합식.

    포비돈은 요오드와 수소결합을 한다.

    요오드를 단단히 붙잡고 있는 셈이다.

    덕분에 요오드가 한꺼번에 상처부위로 돌진하지 않는다.

    폭격기가 목표지점에 폭탄을 하나씩 떨어 뜨리듯, 포비돈이 요오드를 천천히 방출하는 덕택에 자극성이 훨씬 덜하다.

    지금으로부터 60년 전인 1955년, 셸란스키 박사는 포비돈 요오드를 상품화시킨다.

    우리에게 익숙한 ‘빨간약’의 탄생이다.

    빨간약으로 가글한다고?

    포비돈 요오드는 상처에만 쓰지 않는다.

    강한 살균력을 이용하면 우리 몸 구석구석 숨어있는 병균을 퇴치할 수 있다.

    군대에서 방수·통풍도 안 되는 전투화를 신고 다니다보면 무좀에 걸리기 십상이다.

    한번 걸리면 좀체 낫지를 않는다.

    빨간약은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인정하는 무좀 소독약이다.

    무좀균을 직접 퇴치하진 못하지만, 소독에 도움이 된다.

     

    목이 아플 때 스프레이 형태로 만든 빨간약을 목안에 뿌리면 된다.

    아데노바이러스, 단순포진, 녹농균 같은 병원체를 죽여 인후염을 막을 수 있다.

    바르는 빨간약보다 농도는 훨씬 낮지만 살균력은 우수하다. 구강청정제로 쓸 수도 있다.

    어떻게 빨간약으로 가글을 할까 싶지만, 김하연 한국먼디파마 홍보부장에 따르면 “포비돈 요오드에 유칼리유나 박하유를 넣어 역한 냄새가 없고 청량감도 있다.”

    실제로 기자가 사용해보니 목구멍을 톡 쏘는 알싸한 느낌이 오래도록 청량감을 줬다.

     

    또 있다. 빨간약은 여성 질세정제로도 쓰인다.

    생식기에 기생하는 칸디다 알비칸스(곰팡이)나 트리코 모나스(기생충)를 살균해 질염을 치료한다.

    산부인과 수술 전에 소독용으로도 쓰인다.

    신생아에게 결막염을 일으켜 눈을 멀게 할 수 있는 임균이나 트라코마 클라미디아균을 죽이는 데도 효과가 있다.

    목이 아프면 목에, 발이 아프면 발에, 생식기가 아프면 생식기에…, 빨간약을 뿌리면 된다.

    영화 '와일드(2014)'에서 주인공이 더러운 연못물에 요오드 알약을 넣어 먹는 장면,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에서 주인공은 95일간 4285km를 걸어 미국 중부를 관통한다. 트래킹 도중 물이 떨어질 때면 이렇게 요오드 알약을 넣어 오염된 물을 정수시켜 먹었다.

    재난 닥치면 빨간약부터 챙겨라

    아직 안 끝났다.

    빨간약은 재난상황에서도 생존을 위해 필요한 물품이다.

    미국 ‘야생생존훈련학교’의 창립자이자 생존학 전문가인 코디 런딘이 2011년 쓴 책 ‘재난이 닥쳤을 때 필요한 단 한 권의 책’을 보면 이런 내용이 나온다.

    재난으로 상수 시설이 파괴됐을 때 오염수를 그냥 마시면 살모넬라균과 콜레라균에 전염돼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런딘은 이때 “빨간약을 꺼내라”고 말한다.

    진흙이나 플랑크톤 같은 입자성 물질로 탁하게 오염돼 있는 물 1L 정도에 10% 포비돈 요오드 용액 여덟 방울을 떨어뜨린 뒤 30분 정도 기다리면 된다.

    요오드는 탁한 물속에 있는 질소화합물과 유기물, 무기물과 쉽게 합쳐져 물을 맑게 한다.

    그는 “물에서 요오드의 맛이 느껴진다면 소독이 잘된 것이니 안심하고 마셔도 된다”고 말한다.

    빨간약 같은 만병통치약 또 있다?

    포비돈요오드만 광범위한 살균력을 가진 건 아니다.
    과산화수소나 알코올, 클로로헥시딘, 염화벤잘코늄도 병원체 대부분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어 소독약으로 널리 쓰인다.
    요오드보다 전기음성도가 높은 산소나 염소가 있어 효과적으로 병원체를 산화시킬 수 있다.

    원전사고로 방사능 물질이 누출되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빨간약은 도움이 된다.

    핵연료가 붕괴될 때 방사성 요오드가 나오는데, 여기 노출되면 갑상선암에 걸릴 수 있다.

    요오드는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갑상선에 쌓이기 때문이다.

    방사성 요오드를 막으려면 비방사성 요오드로 미리 갑상선을 채우면 된다.

    해조류나 요오드제를 먹는 식으로. 그런데 이마저 없는 상황에선 최후의 수단으로 빨간약을 꺼내자.

    기억하고 있겠지만, 빨간약의 주성분은 요오드다.

    그리고 피부에 발라도 우리 몸에 조금씩 흡수된다.

    방사성 요오드는 반감기가 짧아 몇 개월 후에는 사라질 것이다.

    그때까지만 버티면 된다.

    화상 위험 없는 최첨단 빨간약

    포비돈과 결합해 자극성을 줄이긴 했지만, 요오드는 요오드다.

    우리에 갇혀있던 맹수가 튀어나와 사육사를 해치는 것처럼, 빨간약도 때때로 심한 피부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강 강원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팀이 2012년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에 실은 논문을 보면, 상처부위를 포비돈 요오드로 소독한 뒤 이틀간 지혈대를 덮은 환자에게서 3도 화상이 발견됐다.

    3도 화상은 피부뿐 아니라 피하조직까지 모두 상한 심각한 화상이다.

    연구팀은 특히 뒷목이나 등처럼 체중이 실리는 부위를 빨간약에 오래 노출시키면 화상이 생길 위험이 크다고 밝히고 있다.

    포비돈 요오드 용액이다 마르고 난 뒤 지혈대를 덮거나, 아예 방수처리를 해야 한다.

     

    이런 화상 위험을 피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빨간약을 머금고 있다가 일정한 농도로 내보내는 소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처음엔 붕대나 거즈를 가지고 연구했지만, 좀 더 획기적인 기술이 필요했다.

    2009년 미국 렌셀러 폴리테크닉대 화학생명과학부 로버트 린하르트 교수팀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s)를 포비돈 요오드에 접목시켰다.

    탄소나노튜브는 붕대처럼 신축성과 통기성이 있는 데다, 포비돈 요오드와 결합해 요오드를 일정한 농도로 유지시킨다.

    맹수의 우리를 한 겹 더 둘러싸 안전성을 높인 셈이다.

    린하르트 교수는 논문에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신경돌기의 생체전기신호 전달을 돕기 때문에 신경조직이 손상된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직은 가능성만 보이는 단계지만, 중화상 환자나 마비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 최첨단 빨간약이 나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빨간약,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뭐든 그렇지만, 빨간약도 과하면 좋지 않다.

    앞서 말한 것처럼 포비돈 요오드가 몸에 흡수되면 갑상선으로 향한다.

    갑상선 호르몬인 티록신(T4)과 트리아이 오도티로닌(T3)을 만드는 주요 성분이 바로 요오드인데, 너무 많은 경우 갑상선종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신생아에게 사용해서는 안된다.

    산모 역시 태반으로 요오드가 이동해 신생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빨간약을 반복해서 바르면 세균과 함께 피부재생 세포도 함께 죽어 오히려 상처 치료가 늦어지기도 한다.

     

    빨간약의 한계는 분명하다.

    피부 겉에 붙어있는 병원균은 기가 막히게 잡지만, 세포 깊숙이 퍼진 균을 골라 죽이는 기능은 없다.

    (세포까지 통째로 죽이면 몰라도)

    에볼라 바이러스도 감염될 위험을 줄일 뿐이지, 감염된 뒤에는 속수무책이다.

    하지만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빨간약 사랑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언제 어디서든 온갖 병원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손쉽게 지킬 수 있는 묘약이니까♡.

     

    글 : 변지민 과학동아 here@donga.com

    이미지 출처 : 위키미디어, 동아사이언스, 한국먼디파마, 연합뉴스, 20세기폭스코리아, istockphoto

    출처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 - 과학동아

    대만 작가의 소설 '귀신들의 땅', 귀신에 홀린 것만 같은 구글의 알고리즘

     

    대만 작가의 소설 '귀신들의 땅', 귀신에 홀린 것만 같은 구글의 알고리즘

    대만 작가의 소설 '귀신들의 땅', 귀신에 홀린 것만 같은 구글의 알고리즘요즘 배우자님은 독서에 흠뻑 빠져있습니다.도서관에서 볼만한 책을 고르다 신간 코너에서 별 생각없이 한 권을 골라

    cutekorean.tistory.com

    대박터진 노홍철 밀라노 디자인 위크 전시회를 도운 업체, 노루페인트.jpg
     

    대박터진 노홍철 밀라노 디자인 위크 전시회를 도운 업체, 노루페인트.jpg

    대박터진 노홍철 밀라노 디자인 위크 전시회를 도운 업체, 노루페인트.jpg"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data-ke-type="html">HTML

    brilliantkorean.tistory.com

    삶이 괴로운 북한 주민들, "차라리 남조선의 식민지 사람으로 살고 싶다"
     

    삶이 괴로운 북한 주민들, "차라리 남조선의 식민지 사람으로 살고 싶다"

    삶이 괴로운 북한 주민들, "차라리 남조선의 식민지 사람으로 살고 싶다""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이제 만나러 갑니다 661회 영상들현대판 노예? 과도한 국가 상납금으로

    luckykorean.tistory.com

    [디월트 vs 밀워키] 전동 드릴 내구성 대결의 승자는?.gif
     

    [디월트 vs 밀워키] 전동 드릴 내구성 대결의 승자는?.gif

    [디월트 vs 밀워키] 전동 드릴 내구성 대결의 승자는?.gif"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Milwaukee vs DeWalt pic.twitter.com/TwtOQu4eZT— Texas Courtney (@AlaskanCourtney) August 12, 2024 " data-ke-type="h

    lovelykorean.tistory.com

    [펌]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 웹툰.jpg
     

    [펌]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 웹툰.jpg

    [펌]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 웹툰.jpg"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이 만화의 가장 큰 문제점은이것이 정식 연재되고 있는 웹툰이 아니라팬아트이기 때문에2화가 없다는 점이

    beautifulkorean.tistory.com

    반응형